본문 바로가기

법령

Legal Mind One Day One Law #26 형소법의 인정신문과 진술거부권

형사소송절차 (출처:https://help.scourt.go.kr/nm/images/sub/min_9_1.png)

▣ 형사소송 공판 절차

 

1. 진술거부권 고지

형사소송법 제283조의2(피고인의 진술거부권) 

①피고인은 진술하지 아니하거나 개개의 질문에 대하여 진술을 거부할 수 있다.
②재판장은 피고인에게 제1항과 같이 진술을 거부할 수 있음을 고지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2007. 6. 1.]

 

2. 인정신문

제284조(인정신문) 재판장은 피고인의 성명, 연령, 등록기준지, 주거와 직업을 물어서 피고인임에 틀림없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개정 2007. 5. 17.>

 

3. 검사의 모두진술

제285조(검사의 모두진술) 검사는 공소장에 의하여 공소사실ㆍ죄명 및 적용법조를 낭독하여야 한다. 다만, 재판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검사에게 공소의 요지를 진술하게 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7. 6. 1.]

 

4. 피고인의 모두진술

제286조(피고인의 모두진술) 

①피고인은 검사의 모두진술이 끝난 뒤에 공소사실의 인정 여부를 진술하여야 한다. 다만, 피고인이 진술거부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피고인 및 변호인은 이익이 되는 사실 등을 진술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7. 6. 1.]

 

4. 후략

 

인정신문과 진술거부권

- 성명, 연령, 주소, 직업 등 인적 사항에 대한 신문에 대해서도 진술거부권이 인정될 수 있는가.

 

가. 소극설

- 인적 사항은 불이익한 진술이 아니어서 인정되지 않음.

 

나. 적극설

- 형사소송법상 피고인과 피의자가 거부할 수 있는 진술은 불리한지 여부를 불문하고 있으며, 진술거부의 대상을 “사건에 관하여” 진술하는 경우로 제한하고 있는 독일과 달리 진술거부권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어 인정신문에 대해서도 진술거부권을 인정.

 

다. 절충설

- 인정신문에 의하여 범인임이 확인되거나 증거수집의 계기를 만들어주는 경 우에만 진술거부권이 인정.

 

※ 출처 :  "진술거부권에 관한 헌법적 연구", 2011, 김정식, 석사학위논문, 

 

O 정리

- 구형사소송법(2007.6.1 이전)은 재판장의 진술거부권 고지의무에 관하여 명문으로 규정하지 않았지만, 형사소송규칙 제127조에 의하여 재판장이 피고인 신문절차 이전에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였음.

- 구법은 피고인의 진술거부권(제289조)을 인정신문(제284조)과 피고인신문의 방식(제287조) 보다 뒤에 규정하였기 때문에 인정신문에 대하여도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학설의 대립이 있었음.

- 그러나 신법은 피고인의 진술거부권(제283조의2)을 인정신문 규정보다 앞에 위치시키고 재판장의 진술거부권 고지의무를 명시함으로써 피고인이 재판장의 인정신문에 대하여도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 의문의 여지가 없게 되었음.

※ 출처 : "형사절차상 기본권 보장을 위한 형소법규정 및 실무현실에 관한 연구", 김용세,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3호, 2008.

 

O 결론

피고인은 공판장에서 인정신문시 형소법 제283조의2(피고인의 진술거부권)에 의거 진술을 거부할 수 있음. 

 

O 판례는?

- 사례가 있었는지는 확인하지 못함.

 

 

99. References

1. https://help.scourt.go.kr/nm/min_9/min_9_1/index.html

 

형사소송절차 흐름도 - 형사 - 전자민원센터

형사소송절차는 검사의 공소제기를 기준으로 기소전 단계와 기소후 단계로 나뉩니다. 기소전 단계란 검사의 구속영장 청구부터 공소제기까지의 단계로서 검사의 구속영장 청구, 청구된 구속영

help.scourt.go.kr

2. "진술거부권에 관한 헌법적 연구", 2011, 김정식, 석사학위논문,  https://dcollection.sogang.ac.kr/dcollection/public_resource/pdf/000000047354_20230219141413.pdf

3. "형사절차상 기본권 보장을 위한 형소법규정 및 실무현실에 관한 연구", 김용세,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3호, 2008.